본문 바로가기
3기 신도시

3기 신도시 마곡 10-2/ 마곡 택시차고지 위치, 분양 시기, 청약 일정

by dongreen 2023. 3. 23.
반응형

마곡-사전청약

공공분양 형태로 진행되는 마곡 10-2 단지, 마곡 택시차고지의 예상 가격, 위치, 청약 일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원가주택이란? 예상 분양가

청년원가주택은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일환으로 국가가 토지를 소유하고 건축물에 대한 소유권만 분양자가 취득하는 것입니다. 국가 소유의 토지에 SH공사가 건축을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 아파트 대비 원가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이 가능한 것입니다. 

 

다만 토지에 대한 임대료를 내야하기 때문에 분양가와 더불어 토지임대료를 낼 수 있다는 점 참고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실거주자는 반전세 형식으로 거주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2년 하반기에 이미 고덕 강일 3단지 사전청약을 청년원가주택 형식으로 공급하였으며 추정가격은 3억 5천만 원 수준이었으며 토지임대료는 월 40만 원이었습니다. 이번 마곡 10-2단지, 마곡 택시차고지 역시 비슷한 가격으로 사전청약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 분양규모 공급유형
마곡 10-2 단지 260호 나눔형
마곡 택시차고지 210호 나눔형

※나눔형 : 추후 매매시 시세 차익 70% 보장, 거주의무기간 5년, 주택담보대출이 최대 5억 원 40년 만기

 

위치 및 교통

마곡-공공주택-위치

마곡 10-2 단지부지는 마곡역으로부터 도보 약 11분, 신방화역으로 부터 도보 약 12분 거리에 위치합니다. 또한 마곡 택시차고지 부지는 마곡나루역으로 부터 도보 약 10분 거리에 위치합니다. 두 장소 모두 더블역세권이기 때문에 최상의 위치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마곡에 방문해 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잘 정비 된 계획도시이기 때문에 쭉 뻗은 도로와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서울식물원, 한강, 재생센터공원을 통한 녹지 조성이 훌륭한 지역입니다.  

 

추가적으로 LG R&D의 핵심인 마곡 사이언스파크, 코오롱, 롯데와 같은 기업이 이미 입주해 있으며 MICE 복합단지 준공, 강서구청 이전 등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사전청약 일정 및 조건

사전청약-일정

기존 예견되었던 것과 같이 2023년 상반기 5월 사전청약 예정이라는 SH공사 김헌동 사장의 언급이 있었습니다. 또한 마곡 10-2단지와 마곡 택시차고지의 청약이 한 번에 진행되는 것이 아닌, 둘로 나눠서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청년원가주택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모집 대상자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부 사항은 공지가 나와야 확정되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청년원가주택 지원 조건
공급대상 39세 이하 청년, 7년이내 신혼부부
주택 이력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거주 의무 5년 의무 거주
소득수준 월 평균 소득 140~160% 이하 수준
순자산 25000~30000만원 이하 수준

 

5년 의무 거주, 토지 임대료와 같은 조건들이 있기 때문에 투자수익 목적으로 신청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매물입니다. 다만 청년원가주택은 주변 시세 대비 확실히 저렴하게 공급되는 것은 맞기 때문에  실거주가 필요한 분들이라면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지원하여 기회를 잡으실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3기 신도시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들 아래에 첨부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3기 신도시란? 뉴:홈 나눔형, 선택형, 일반형 청약 비교

3기 신도시란? 1기 신도시 (분당, 일산, 중동 등)와 2기 신도시 (판교, 동탄, 운정, 위례 등)에 이어 3기 신도시는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가 계획한 공공주택 사업의 일환으로 3기 신도시와 기

dongreen.tistory.com

 

 

3기 신도시 뉴:홈 사전청약 일정, 신청 조건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을 진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일정과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이란 2023년까지 우수한 입지를 가진 곳 1.1만 호를 조기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dongree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