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변제권2 전세 사기 피하는 방법(2) : 위험 매물 판단, 보증 보험 지난 포스팅에서는 계약 시, 계약 후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계약 전 매물자체가 위험한지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전세 사기 피하는 방법 : 위험 매물 판단하기 1. 등기부등본 확인: 전세 계약 시 등기부등본의 '을구' 확인을 통해 매물의 근저당(대출)이 얼마나 잡혀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실 소유자 정보, 가압류, 가처분, 가등기와 같은 위험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신축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과 달리 신축 빌라는 시세가 명확하지 않고, 건물을 담보로 한 대출이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임차인은 명확한 건물의 가치를 판단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전세가를 지불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따라서 최우선 변제금 안에서 월세, 반전.. 2023. 2. 26. 전세 사기 피하는 방법 (1): 우선변제권, 최우선 변제권이란? 최근 빌라왕 사건으로 전세사기, 깡통전세에 대한 공포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란 주택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너무 높은 매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매매가 10억 집의 전세가 9억 인 상태에서 주택 가격 하락으로 매매가가 8억이 된다면 전세 역전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세입자가 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 시, 계약 후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 1. 전세가율이 높은 집: 전세가율이 높다고 무조건 사기는 아니지만 70%가 넘어가는 경우 전세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또한 네이버 부동산, 호갱노노등의 어플을 활용하셔서 주변 시세와 비슷한지 확인하시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2. 계약 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 계약이후 확정일자를 발급받아야 .. 2023. 2.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