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약2 전세 사기 피하는 방법(3) : 전세 계약서 특약사항 총정리 지난 포스팅에 이어 전세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계약서 작성 시 특약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주택임대차 보호법 표준계약서로 작성된 계약서는 법적 효력이 강하기 때문에 계약서를 꼼꼼히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미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약이란? 계약 시 일반적인 사항 뿐만 아니라 임대인과 임차인 상호 간의 특별한 합의입니다. 특약이 없는 경우 일반적인 법규를 따르지만, 특약이 있을 경우 특약 내용을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후 분쟁 발생 시 안전장치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임차인 기준 전세 계약시 넣으면 좋은 특약사항 -. "임대인은 임차인이 대항력을 갖추기 전을 포함하여, 임대차 기간 동안 어떠한 제한물권도 설정하지 않기로 한다. 이를 어길 경우 손해배상 또는 약정계약금의 배액을 지불하기.. 2023. 2. 28. 전세 사기 피하는 방법 (1): 우선변제권, 최우선 변제권이란? 최근 빌라왕 사건으로 전세사기, 깡통전세에 대한 공포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란 주택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너무 높은 매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매매가 10억 집의 전세가 9억 인 상태에서 주택 가격 하락으로 매매가가 8억이 된다면 전세 역전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세입자가 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 시, 계약 후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 1. 전세가율이 높은 집: 전세가율이 높다고 무조건 사기는 아니지만 70%가 넘어가는 경우 전세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또한 네이버 부동산, 호갱노노등의 어플을 활용하셔서 주변 시세와 비슷한지 확인하시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2. 계약 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 계약이후 확정일자를 발급받아야 .. 2023. 2. 20. 이전 1 다음